2024 기준중위소득 확인방법
중위소득 뜻은 우리나라의 국민의 소득을 정리하여 지표순서로 메겨둔것으로 내년 역대 최대 폭으로 상향 조정되어서 내년에는 생계급여나 차상위계층등 혜택을받는 사람들이 많아 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위소득은 저소득자들의 복지나 지원을 위해 판별하는 지표로 미리 알아두시면 정부지원금을 받는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기준 중위소득 바로보기✅✅
(연도별 금액을 바로 확인가능합니다)
2024년 중위소득 결정
생계급여 선정 기준도 7년 만에 중위소득 기준 30%에서 32%로 상향 조정됐는데, 이에 따라 4인 가구의 생계급여 최고액은 올해 162만 2,289원에서 내년 183만 3,572원으로 13.16% 늘어 역대 최고액을 기록했습니다.
내년 기준 중위소득은 6.09% 증가해 역대 최고 수준
올해 540만9964원보다 6.09% 증가한 572만9913원으로,
1인 가구 기준
올해(207만7892원)보다 7.25% 증가한 222만8445원으로 결정됐습니다.
알뜰 교통카드 플러스 신청 사용방법 및 카드사 혜택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란? 기존 정부에서 지원하던 기존 교통카드와 달리 마일리지를 쌓아 일정금액 이상을 사용하면 일부 환급받을 수 있는 알뜰 교통카드 플러스입니다. 2023년 7월부터 시작되
dbaud3.com
2024년 가구원수별 중위소득 100% 금액
가구원수기준 중위소득금액(2024년 중위소득표)
1인가구 | 222만8445원 |
2인가구 | 368만2609원 |
3인가구 | 471만4657원 |
4인가구 | 572만9913원 |
5인가구 | 669만5735원 |
6인가구 | 761만8369원 |
기본증가율은 최근 3년간 가계금융복지조사 중위소득 평균증가율과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안정화 추세를 고려해 3.47%로 적용되며, 이와 함께 가계금융복지조사 중위소득과 기준 중위소득 간 격차 해소를 위해 2.53%(4인 가구 기준) 추가 인상되었습니다.
평생교육바우처 사용기관 알아보기
평생교육바우처 사용기관은 평생교육바우처 카드를 사용하여 수강료를 결제할 수 있도록 등록된 기관을 의미합니다. 사용기관은 평생교육바우처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평생교육바우
dbaud3.com
생계급여금액
내년 기준 중위소득이 높아짐에 따라 급여별 선정 기준과 내년도 최저 보장 수준도 함께 올라갑니다.
✅✅2024년 최저급여 모의계산기✅✅
고용노동부 - 최저임금 모의계산기
www.moel.go.kr
생계급여금액
기준중위소득의 30%(2023년)에서 32%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4인 가구 기준으로 올해 162만2289원에서 2024년 183만3572원(13.16%)으로 약 21만3000원
1인 가구 중위소득은 올해 62만3368원에서 2024년 71만3102원(14.4%)으로 약 11만원 인상됩니다.
가구원수 생활급여 금액
1인가구 | 71만3102원 |
2인가구 | 115만3435원 |
3인가구 | 150만8690원 |
4인가구 | 183만3572원 |
5인가구 | 243만7878원 |
금리인하요구권 신청 방법 (국민은행)
금리인하 요구권이란? 은행여신거래기본약관(가계용) 제 3조(이자등과 지연배상금) 제9항에 의거 가계대출 사용 고객이 본인의 신용 상태에 현저한 변동이 있는 경우 증빙자료를 은행에 제출하
dbaud3.com
주거급여
기준중위소득의 47%에서 48%로 상향됐고, 임대가구의 임대급여 상한선인 기준임대료는 올해와 비교해 가구별로 1만1000원 오른 2만7000원(3.2~8.7%)이며 주택 수리비는 주택 연한에 따라 457만원에서 1241만원으로 올해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4인 가구 기준 주거급여가 연간 최소 13만2천원에서 최대 32만4천원으로 인상, 의료급여와 교육급여, 기존과 같이 기준중위소득의 40%와 50%로 유지됩니다.
2023년 뉴홈 사전청약 조건 및 신청하기(신청 후5억벌기)
2023 뉴홈의 사전청약이 시작됩니다. 서울 도심 등 우수한 입지를 가진 1.1만호를 사전청약으로 조기 공급 예정을 목표로 하는 뉴홈은 개인별 여건에 따라 나눔형, 선택형, 일반형으로 다양한 선
dbaud3.com
교육급여
2024년 교육활동지원비를 초등학교 46만1천원, 중학교 65만4천원, 고등학교 72만7천원 등 최저교육비의 100%로 확대하고, 무상교육을 제외한 고등학교 재학 시에는 입학금, 수업료, 교재비 등을 실비로 지원하며, 기존과 동일하게 급여대상 항목에 대한 의료비 중 수급자 부담액을 제외한 전액 의료급여가 제공됩니다.
4인 가구 기준 교육급여는 4만6천원에서 7만3천원으로 인상됩니다.
이 기준으로 중위소득 증가로 저소득층 2만 5천 가구가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어 지는 데요. 생계급여 선택기준 완화로 새로 혜택을 받는 저소득층 가구는 3만 8천 가구가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내년에는 모두 지원받으시길 바라며 잘 챙기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