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시 청년 대중 교통비 지원 신청방법 및 지원 대상

주아니아빠 2023. 4. 15.
반응형

서울시는 28일부터 531일까지 '2023년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사업' 참여자를 모집한다고 27일 밝혔다. 서울 거주 만 19~24세 청년이면 누구나 청년몽땅정보통에서 신청할 수 있다.

청년 대중 교통비 지원

 

 

서울시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이란?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사업'은 이제 막 성인이 돼 경제적 자립도가 낮음에도 청소년 할인 혜택이 종료된 20대 초반 청년에게 대중교통 이용요금의 일부를 교통 마일리지로 돌려주는 정책이다. 학업, 근로 등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일이 많은 청년들이 교통비 부담으로 다양한 기회를 포기하지 않도록 지원하고자 지난해 처음 시작됐다.

 

서울 거주 만 19~24세 청년을 대상으로 하니 혹시 만아이를 정확히 알지 못한자면 아래에서 확인바랍니다. 

만나이 계산기 바로가기☜ 

 

 

신청 및 지급절차

 

해당 사업은 청년들이 실제 사용한 교통비에 비례해 마일리지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대중교통 이용횟수가 많은 청년일수록 더 많은 혜택을 받는 '생활밀착형 지원사업'이다.

 

지원금액 : 등록된 교통카드 이용 금액의 20%, 연간 최대 10만원

- 2023. 1. 1. ~ 12. 31.에 이용한 교통카드 결제내역을 정산하여, 해당 금액의 20%를 교통마일리지로 적립

 

제외대상 : 2023년 아래 사업에 참여하여 지원금을 수령한 사람

- 고용노동부 국민취업지원제도, 서울 청년수당, 서울 임산부 교통비 지원사업

 

교통카드 :

[선불교통] 삼성페이(티머니), 모바일티머니, 티머니 플레이트카드

[후불교통] 비씨, 삼성, 신한, 우리, 하나, 현대, KB국민카드 발행 실물카드 및 후불형 모바일 교통카드

 

신청방법 : 청년몽땅정보통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 아래 버튼으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청년 대중 교통비 지원

티머니 교통비 지원 신청하기

 

청년 대중 교통비 지원

카드사 교통비 지원 바로가기

신청기간 : 2023. 3. 28.(화) 10시 ~ 5. 31.(수) 17시

 

 

 

자세한 내용은 청년몽땅 정보통에서 확인

 

참여자로 최종 선정된 청년들에게는 교통카드 실 사용액의 20%(연 최대 10만원 한도)를 상·하반기 연 2회 교통 마일리지로 지급하며, 신청 방법, 마일리지 지급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은 청년몽땅정보통 자주 묻는 질문(FAQ)’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온라인청년센터 카카오톡 상담하기 :

 

서울시는 대중교통비 지원뿐 아니라 청년 개개인에게 필요한 맞춤형 청년정책 정보도 함께 제공한다. 대중교통비 지원을 신청할 때 '청년몽땅정보통'에 설정한 관심정보를 바탕으로 서울시에서 추진 중인 5개 분야(일자리, 주거, 교육·문화, 복지·생활, 참여·공간) 54개 사업을 적시에 안내해 본인에게 필요한 정책을 모르거나 시기를 놓쳐 혜택을 받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는 목표다.

 

 

 

같이 알면 좋은 정보

2023.04.11 - [분류 전체보기] - 2023 학교폭력 실태조사 학교폭력 뿌리 뽑는다!

 

2023 학교폭력 실태조사 학교폭력 뿌리 뽑는다!

요즘 학교폭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더글로리와 같은 피해 학생들이 생겨나지 않도록 전수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학교폭력 실태조사는 매년 실시하지만 이번에는 많은

dbaud3.com

2023.04.14 - [분류 전체보기] - ChatGPT 활용하여 블로그 포스팅(파파고번역)

 

ChatGPT 활용하여 블로그 포스팅(파파고번역)

최근 한달안에 가장 핫한 주제를 선정하라고 하면 저는 ChatGPT를 선택할 것입니다. MS의 오픈형 AI인 ChatGPT의 인공지능 기술은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발전되어 있습니다. ChatGPT란? ChatGPT는

dbaud3.com

2023.04.06 - [분류 전체보기] - 연차수당 계산방법과 지급기준 1년미만 연차 발생기준

 

연차수당 계산방법과 지급기준 1년미만 연차 발생기준

근로기준법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힙니다. 법적으로 규정된 연차로, 월차라는 개념은 없다고 합니다. 모두 연차휴가의 일종으로, 법적으로는 월차라는 개념 자체가 없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시

dbaud3.com

 

댓글